도서소개
이 책자 『도덕적 딜레마 사례집: 도덕성을 알아보는 45영역 450가지 질문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내면적 가치 위계를 들여다보고, 더 높은 단계의 도덕적 성숙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설계된 ‘거울’이자 ‘지도’입니다. 이를 위해 본서는 45개 영역, 225개의 구체적인 도덕적 딜레마 사례와, 그것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기존의 도덕발달단계를 주창한 다양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고, 또한 다년간의 측정과정에서 응답자들이 오해를 해서 제대로 응답하는 것이 제한된 점 등을 개선하여 새로운 ‘6단계 가치 위계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정답이 아닌 성찰의 힘을 기르는 교육을 향하여 3
제1부_ 도덕적 딜레마와 가치 위계 이론 7
제1장 도덕적 딜레마 이론 9
1.1. 왜 다시 도덕적 딜레마인가: 지식으로서의 윤리와 삶으로서의 도덕 9
1.2. 콜버그를 넘어서: 인지, 감성, 관계, 초월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 11
1.3. 딜레마 수업의 재발견: 정답 찾기가 아닌 가치관 성찰의 도구 16
제2장 가치 위계 6단계 모델의 이론과 구조 19
2.1. 딜레마와 가치 위계: 분석의 출발점 19
2.2. 모델의 구조: 6단계 가치 위계의 상세 해설 22
2.3. 모델의 재구조: 새로운 6단계 가치 위계의 상세 해설 25
2.4. 기존 이론과의 비교를 통한 모델의 독창성 28
제2부_ 도덕적 딜레마 수업의 실제와 활용 31
제1장 성공적인 딜레마 토론 수업 운영 가이드 33
1.1. 수업 전 준비: 안전한 토론의 장(場) 설계하기 33
1.2. 수업 도입: 딜레마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37
1.3. 딜레마 제시와 토론 진행의 실제 40
제2장 도덕적 딜레마 수업의 평가 및 피드백 47
2.1.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결과에서 과정으로 47
2.2. 과정 중심 평가의 실제: 포트폴리오와 성찰 저널 49
2.3. 성장을 돕는 피드백의 기술 51
[부록] 55
[부록 1] 새로운 가치 위계 6단계 요약표 57
[부록 2] 학생용 성찰 활동지 양식(딜레마 포트폴리오) 58
[부록 3] G. Lind의 KMDD 수업 모형(선행 사례) 60
[부록 4] KC-index 개념적 이해를 위한 안내(심화 과정) 65
[부록 5] 도덕적 딜레마 기반 수업 교수학습지도안(예시) 68
[부록 6] 도덕적 딜레마의 45개 주제 영역 71
[부록 7] 도덕적 딜레마를 위한 450개 질문 현황 116
저자소개
박균열(朴均烈, pgy556@gnu.kr)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학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역복무 중에는 모로코 사하라 지역에서 UN 평화유지활동(PKO)을 수행한 바 있고, 육군3사관학교 윤리학과 교수로 복무했으며, 전역 후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미국 UCLA 한국학연구소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다. 현직의 교수로 부임하고 난 뒤에는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위원, 대한변호사협회 검사평가특별위원을 역임한 바 있고, 2012년에는 국방부의 『정신교육 기본교재』(2019년 이후 『정신전력교육 기본교재』로 명칭 변경) 집필위원으로 참여한 바 있다. 현재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한국공공가치학회 회장, 한국윤리학회 부회장, 한국윤리교육학회 부회장, 국방정신전력원의 『정신전력연구』 편집위원, 한국군사문제연구원의 『한국군사』 편집위원 등으로 봉사하고 있다.
주로 정치윤리 분야를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도덕성측정과 인공지능윤리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2건의 특허를 갖고 있으며, 3건의 실용신안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극단적 부도덕성 개념인 에티코패스(Ethicopath)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MOROCCO-KOREA COOPERATION: Contemporary Partnership and Future Insights(공저), Com-munity, Ethics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공저),『도덕판단력 측정』(공저), 『평화안보와 가치교육』, 『국가윤리교육론』(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성서 속의 인물과 윤리적 역량』(공저), 『직장생활과 윤리적 리더십 핸드북』(공저), 『직장생활과 위기관리 윤리』, 『평화사상과 통일의 길』(공저), 『북한의 정치와 사회』(공저), 『애국심의 윤리학적 정당화와 군 정신교육』, 『음악치료활동을 통한 특수아동의 도덕성 발달』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인간안보』(공역), 『심리치료와 상담의 윤리학』(공역), 『공감과 도덕발달』(공역), 『윤리탐구공동체교육론』 (공역)(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공역), 『말빈 벌코위츠의 PRIMED 인격교육론』(공역), 『윤리적 감수성』(공역), 『윤리적 판단력』(공역), 『윤리적 동기부여』(공역), 『윤리적 실천』(공역) 등이 있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