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저서에 실긴 글들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의 학회지인 『미술교육연구논총』에 투고된 논문 중 미술교육에서의 리터러시 교육을 다룬 우수 논문들로, 저서 내용에 맞게 수정 보완한 글들이다. 이 책은 1부와 2부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Part 01 미술교육과 리터러시, 논의’에서는 미술교육에서의 비주얼, 미디어, 디지털,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개념 및 구성 요소, 이를 반영하는 미술과의 교육내용 및 수업 방향성을 논의해 본다.
‘Part 02 미술교육과 리터러시, 수업’에서는 비주얼, 디지털, 미디어, 인공지능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설계 및 실행, 이를 위한 교사 역량을 다룬다.
미술교육에서 무엇을 우선하여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 왔고, 미술과 교육내용은 시대별로 큰 변화를 겪어왔다. 교사의 인식에 따라 미술 수업 내용 고안 및 설계 방식에도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 책이 미술교육자와 연구자들이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는 질적인 리터러시 미술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이바지하기를 소망해 본다.
목차
서문 _ 2
Part 01 미술교육과 리터러시, 논의
제1장 미술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_ 11 ······································································································ 이은적
1. 미술교육과 리터러시: 비주얼, 미디어, 디지털, 인공지능 리터러시 _ 13
2.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보드리야르의 사고 _ 19
3.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 탐색 _ 27
4.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 _ 37
제2장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탐구 _ 41 ····················································································· 홍수경
1.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술교육 _ 44
2. 들뢰즈 이미지 존재론 _ 47
3. 차이 생성적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_ 54
4.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제안 _ 60
제3장 미술교육과 인공지능 리터러시 _ 63 ···························································································· 류하영ㆍ이상민
1. 인공지능 리터러시 _ 65
2. 미술교육에서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_ 71
3. 인공지능 시대 미술교육의 과제 _ 82
제4장 AI 시대 시각문화 환경에서의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_ 89 ·········································································· 공완욱
1. 인공지능 시대의 시각문화와 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 전환 _ 91
2.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비주얼 리터러시 _ 98
3. AI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 _ 100
4. AI 시대 비주얼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미술수업 방안 _ 107
제5장 미술교육에서의 디지털 영상교육 _ 119 ····································································································· 박상돈
1. 낙서와 낙서화 _ 121
2. 낙서로서의 디지털 영상 _ 125
3. 디지털 영상의 미술교육적 논의 _ 130
4. 영상교육에서 디지털 영상교육으로 _ 137
Part 02 미술교육과 리터러시, 수업
제6장 미술 교과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탐색 _ 143 ······································································ 이재예ㆍ이정은
1. 왜 지금, 미술 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인가? _ 144
2. 디지털 리터러시,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_ 146
3.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미술교육 _ 148
4.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담은 수업 이야기 _ 154
5. 우리가 배운 것들: 수업, 교사, 학습자의 재발견 _ 165
6. 미술 수업 속 디지털 리터러시, 그 다음을 위한 제안 _ 171
제7장 시각적 감성과 인공지능, 미술 수업의 방향 탐색 _ 175 ·············································································· 고홍규
1. 시각적 감성과 미술 _ 178
2.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의 특성과 한계 _ 184
3. 미술 수업의 방향 탐색 _ 192
제8장 생성형 AI를 활용한 미술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_ 197 ······················································· 김화슬
1. 미술 중심 융합교육과 생성형 AI _ 199
2. 생성형 AI를 활용한 미술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_ 205
3. 미술 중심 융합교육에서의 AI 활용: 전망과 과제 _ 224
제9장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미술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현 경험 분석 _ 227 ··········································· 이시은
1. 디지털매체와 미술교육 _ 230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_ 233
3.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미술 수업에서의 시각적 표현 경험 분석 _ 237
4.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미술 수업에서의 시각적 표현 특성 _ 246
5.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미술 수업의 방향 _ 253
제10장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성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 _ 257 ··································································· 고동연
1.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과 ‘성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_ 258
2.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성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정의 _ 262
3. 초등학생을 위한 성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 분석 _ 272
4. 성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제안: ‘성평등 텔레비전 드라마’ _ 283
5. 더 나은 ‘성미디어 리터러시’ 향하여 _ 287
제11장 우리는 미래를 맞이할 준비가 되었는가 _ 293 ························································································· 김사라
1. 디지털 기술 환경과 미술교육 패러다임 변화 _ 296
2. 디지털 미술교육: 교사 담화를 통한 탐색 _ 309
3. 디지털 전환기, 교사 담화를 통한 미술교육 시사점 _ 327
참고문헌 _ 331
찾아보기 _ 356
저자소개
이은적
대구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프랑스 파리8대학 조형예술학과 박사
(현)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 편집위원, (전)한국문화교육학회 회장
저서: 『시각 예술ㆍ문화로 핵심역량 교육하기』, 『미래교육 미술교육(공저), 『재미있는 미술감상 수업』(공저), 『우리 미술의 감상과 교육(공저), 『미술교육학』(공저), 『미술과 교수법』(공저), 2007 개정, 2011 개정, 2015 개정 미술 교과서와 지도서(공저)
역서: 『인지중심미술교육론』(공역),『예술교육론- 미술교과의 재발견』(공역)
고동연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뉴욕시립대학교 현대미술사 박사와 영화이론 박사 자격증; 전 강원국제트리엔날레2024 예술감독; 전 네마프(서울국제대안영상페스티벌) 집행위원 및 미디어아이공 선임연구원
저서: 『Postwar Korean Art in Context, 1945-2023』(런던: 블룸즈베리, 2025, 이정실 공저); 『 Postmemory Generation in South Korea: The Post 1990s Arts and Films』(런던: 러틀리지, 2021); 『소프트파워에서 굿즈까지』(서울: 다할미디어, 2018) 등 20권 출간
고홍규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펜실베니아주립대학 미술교육학 박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조형교육학회 편집위원
저서: 『우리미술 감상수업』(공저), 『세계미술 감상수업』(공저), 『전통미술의 감상과 교육』(공저), 『미술교육학(4판)』(공저), 『현대미술교육의 이론과 쟁점』(공저)
공완욱
춘천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조교수
미술교육학 박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학술위원장, 한국조형교육학회 정보화위원장
김사라
대전교육정책연구소 연구교사
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과 박사
저서: 『미술아, 놀자!』(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공저);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미술교육방법론 강의 개선(한국교원교육연구, 2024) 등 다수 논문 게재
김화슬
세종대학교 겸임교수, 추계예술대학교 강사
서강대학교 예술공학 박사
저서: 『미술놀이로 배우는 초보MAKER 전기회로DIY 공방』(공저)
류하영
서울삼정초등학교 교사, 서울교육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미술교육과 박사
저서: 2022 개정 초등학교 3-6학년 미술 교과서와 지도서(공저)
박상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미술교육학 박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대외협력위원회 이사, 한국조형교육학회 대외협력위원회 위원장
이상민
California State University, Chico 미술교육과 조교수
미국 University of Arizona Art and Visual Culture Education 박사
California Art Education Association Equity, Diversity, and Inclusion (EDI) Commissioner, Asian Art and Culture Interest Group Outreach Coordinator, 아시아태평양 교육문화융복합학회 대외협력이사
저서: 『Walking Matters: Material and Digital A/r/tographic Explorations』(공저), 『미래교육 미술교육』(공저), 『명화로 도덕수업을 바꾸다』(공저)
이시은
전북특별자치도 초등학교 교사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박사과정
저서: 『상상의 이해와 교육』(공저)
이재예
서울대학교 외 강사,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박사
저서: 『다르게 보는 눈, 예술가 되어』(공저)
이정은
서울교육대학교, 중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박사
홍수경
세종 나성초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미술교육 박사
한국교원대학교 강사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