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동원사상 고찰
제1절 동원사상의 개념
제2절 동원사상의 역할 및 중요성
제3절 동원사상의 변천
제3장 동원이론 고찰
제1절 동원체제의 개념
제2절 예비전력과 동원관계
제3절 동원의 영향 요인
제4장 세계전사에서 동원개관
제1절 고대의 전쟁과 동원
제2절 중세의 전쟁과 동원
제3절 근대의 전쟁과 동원
제4절 프랑스 혁명과 동원
제5절 미국의 남북전쟁 시 동원
제6절 제1차 세계대전시 둥원
제7절 제2차 세게대전시 동원
제8절 현대전에서의 동원
제5장 한국전사에서 동원개관
제1절 고조선시대 전쟁과 동원
제2절 삼국시대의 전쟁과 동원
제3절 고려시대의 전쟁과 동원
제4절 조선시대의 전쟁과 동원
제5절 정부수립기 동원
제6절 한국전쟁 시의 동원
제7절 현대 동원의 발전
제6장 동원의 시대별 분석
제1절 개 요
제2절 세계전사에서 동원 분석
제3절 한국전사에서 동원 분석
제4절 소 결 론
제7장 국가별 동원발전 개관
제1절 한국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2절 북한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3절 미국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4절 독일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5절 이스라엘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6절 스위스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7절 영국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8절 프랑스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9절 이탈리아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10절 일본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11절 중국의 동원제도 및 체계
제12절 각 국의 동원제도 비교 분석
제8장 동원의 분석 유형
제1절 개 요
제2절 시대별, 국가별 동원 분석 유형
제3절 한국 동원의 영향요인별 분석
제9장 미래의 한국적인 동원 발전방안
제1절 동원사상 정립
제2절 개념적 의지적 측면에서 발전 방향
제3절 기능적 실천적 측면에서 발전 방향
제10장 결 론
저자소개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연세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국방대학원 안보과정을 졸업 후 현재 군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육사에서 군사, 연대대학원에서 외교 안보, 인도 마드라스대학원에서 국방관리를 전공하였으며 건양대 국방관리대학원에서 동원사상을 강의하였다. 특히 군 재직 시에는 국방부, 육군본부 등 동원분야에서 정책 연구발전과 동원정보화 사업을 추진하였고 육군협회 지상군연구소에서 "미래 동원제도 발전" "예비군 원격교육 발전" "미래 예비군훈련 발전" 등 동원 및 예비전력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