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한국인 토착심리 탐구를 위한 문화심리학 총서의 제10권으로서, 각 장의 상세한 연구 목적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과학적 심리학이 자연과학적 패러다임에서 문화적인 면을 다루는 심리학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시각에 기초하여, 토착심리학적 접근을 소개하고, 스트레스와 같은 사회적 표상의 경험적 지식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입장에서 한국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경험의 내용을 밝히고,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의 생각과 정서, 사회적 지원 및 대처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2장에서는 IMF시대의 경제 불황이 한국인의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을 토착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스트레스 생활사건, 대처, 양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 IMF시대 청소년 및 부모 집단의 스트레스 생활사건을 분석하였다. 2) 청소년 학교수준별 성별 스트레스 생활사건, 대처와 증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3) 부모 자녀학교수준별 성별 스트레스 생활사건, 대처와 증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4) 청소년과 부모 세대별 스트레스 생활사건, 대처와 증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5) 스트레스 관련 변인들, 즉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김의철과 박영신(1999a)의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6장에서는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7장의 주된 목적은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관리행동 차이를 비교하고, 나아가서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8장은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효능감 및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9장의 주된 목적은 경제 불황기의 실직자와 직장인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사회적 지원에 대해 토착심리학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10장에서는 직장인의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 관련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서적 지원(가족, 직장동료, 직장상사), 자기효능감(자기조절, 사회성, 관계, 어려움극복, 업무처리), 직무만족도, 직무성취도가 스트레스 증상 및 대처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11장에서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 동료의 정서적 지원, 직장인의 어려움극복효능감과 스트레스 및 직무성취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목차
머리말 9
차례 13
제1부 한국인의 스트레스 토착심리 31
제1장 IMF시대 이전 한국인의 스트레스 33
1. 서론 34
2. 이론적 배경 35
1) 토착심리학적 접근방법 35
2) 스트레스의 정의와 구성요소 40
3) 연구 모형 41
4) 스트레스 유발요인 42
5)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44
6)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 44
7) 스트레스와 대처 46
8) 스트레스 결과 48
9) 스트레스에 대한 문화적 접근 48
3. 방법 50
1) 분석대상 50
2) 측정도구 50
4. 결과 51
1)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건 51
2)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의 사고와 정서 52
3)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사회적 지원 56
4)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와 효과 60
5. 논의 및 결론 64
1) 한국인 스트레스의 토착심리 64
2)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 70
제2장 IMF시대 한국인의 스트레스 73
1. 서론 74
2. 방법 78
1) 분석대상 78
2) 측정도구 79
3) 실시방법 80
3. 결과 80
1)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건 80
2)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의 사고와 정서 82
3)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사회적 지원 87
4)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와 효과 91
4. 논의 및 결론 94
1) 경제 불황 전후 한국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결과 비교 95
2) 변화에 대한 이해: 사회변화와 스트레스 경험 97
3) 변화하지 않는 측면: 한국인의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원 99
제3장 IMF시대 이후 한국인의 스트레스 103
1. 서론 104
2. 방법 110
1) 분석대상 110
2) 측정도구 112
3) 실시방법 112
3. 결과 113
1) 초, 중, 고, 대학생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 113
2) 초, 중, 고,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원 116
3)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 120
4)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원 123
5) 부모와 자녀의 스트레스 비교 126
4. 논의 및 결론 129
1) 한국인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양식과 사회적 지원 129
2) 후속연구의 방향 136
제2부 한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형성 141
제4장 스트레스와 관련 변인 143
1. 서론 144
2. 방법 148
1) 분석대상 148
2) 측정도구 149
3) 실시방법 152
3. 결과 153
1) 집단별 스트레스 생활사건 빈도 153
2) 청소년 학교수준별 성별 스트레스, 대처, 증상의 차이 156
3) 부모 자녀학교수준별 성별 스트레스, 대처, 증상의 차이 161
4) 청소년과 부모 세대별 스트레스, 대처, 증상의 차이 166
5)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168
4. 논의 및 결론 179
1) 부모의 대표적 스트레스 생활사건으로서 경제 문제 179
2) 청소년의 대표적 스트레스 생활사건으로서 학업문제 180
3) 자기조절 대처의 현저함 181
4) 학교수준별 청소년의 스트레스 증가와 생활만족도 감소 181
5) 자녀성장에 따른 부모의 자녀관계 스트레스 증가와 자녀양육만족도 감소 183
6)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정적 관계 183
7) 맺음말 184
제5장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 187
1. 서론 188
2. 방법 195
1) 분석대상 195
2) 측정도구 196
3) 실시방법 198
3. 결과 199
1) 도시, 농촌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및 환경의 차이 199
2) 청소년 심리특성과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의 관계 202
3) 청소년 행동특성과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의 관계 204
4) 가정환경과 청소년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206
5) 학교환경과 청소년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208
6) 친구환경과 청소년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210
7) 사회환경과 청소년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210
8) 청소년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형성 211
4. 논의 및 결론 214
제6장 초, 중,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221
1. 서론 222
2. 방법 229
1) 분석대상 229
2) 측정도구 230
3) 실시방법 232
3. 결과 232
1) 스트레스, 우울 및 관련 변인들의 관계 232
2) 모형에 대한 경로분석과 효과분석: 초등학생 집단 234
3) 모형에 대한 경로분석과 효과분석: 중학생 집단 237
4) 모형에 대한 경로분석과 효과분석: 대학생 집단 240
4. 논의 및 결론 242
제7장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관리행동 249
1. 서론 250
2. 방법 257
1) 분석대상 257
2) 측정도구 258
3) 실시 및 분석방법 261
3. 결과 261
1) 성별 부모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차이 261
2) 한국과 일본 대학생 집단별 부모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차이 263
3) 부모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의 관계 267
4) 스트레스에 대한 부모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효능감 영향 269
4. 논의 및 결론 272
제8장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279
1. 서론 280
2. 이론적 배경 282
1)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282
2) 사회적 지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83
3)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스트레스 및 우울 285
4)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고려 286
5) 가설 및 연구모형 287
3. 방법 288
1) 분석대상 288
2) 측정도구 289
3) 실시방법 294
4. 결과 295
1) 측정변인의 관계 분석 295
2) 가설 및 연구모형의 검증 297
5. 논의 및 결론 304
1)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제한점에 대한 검토 305
2)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어려움극복효능감의 영향 306
3) 부모 사회적 지원의 간접적 영향 308
4)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 309
제3부 한국 직장인의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 313
제9장 실직자와 직장인 스트레스 경험 315
1. 서론 316
2. 방법 323
1) 분석대상 323
2) 측정도구 324
3) 실시 및 분석방법 325
3. 결과 326
1)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건 326
2)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의 사고와 정서 328
3)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의 행동과 대처 330
4)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사회적 지원 333
5) IMF시대 극복을 위한 대처방안 337
4. 논의 및 결론 342
1) 경제 불황 실직자와 직장인 스트레스의 비교 343
2) 성별, 생활만족도 수준별 스트레스 분석 345
3) 한국 사람의 스트레스 표상에 대한 종합 347
4) 사회문제 연구에서 토착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 352
제10장 직장인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 357
1. 서론 358
1)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358
2)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361
3) 직무만족도, 직무성취도와 스트레스 363
4) 연구의 목적과 내용 364
5) 성별 스트레스의 차이 364
2. 방법 366
1) 분석대상 366
2) 측정도구 367
3) 실시 및 분석방법 370
3. 결과 370
1) 학교급별 성별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 370
2)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남자 교사 372
3)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여자 교사 374
4. 논의 및 결론 376
제11장 직장인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383
1. 서론 384
2. 방법 391
1) 분석대상 391
2) 측정도구 391
3) 실시 및 분석방법 394
3. 결과 394
1)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 회사원 394
2)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 교사 398
3)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 전체 400
4. 논의 및 결론 403
참고문헌 413
부록 433
찾아보기 482
저자소개
박영신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교육심리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한국여성심리학회 회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부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한국교육심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심리학회 편집위원장 등의 학술활동을 해 왔다. 저서로는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학교폭력(2015)”,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2014)”, “한국인의 성취의식(2013)”, “한국 청소년문화와 부모자녀관계(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2004)”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한국인 토착심리, 교육심리, 부모자녀관계, 효도, 성취, 일탈행동, 자기효능감, 행복, 삶의 질, 스트레스 등이다.
김의철
Queen’s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사회심리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인하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University of Hawaii 심리학과 조교수, 동경대학교 사회심리학과 부교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회장, Asian Association of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회장,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pplied Psychology, Psychology and National Development Division 회장 등의 학술활동을 해왔다. 저서로는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Springer(2006)”,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Sage(1994)”, “Indigenous psychologies, Sage(1993)”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토착심리, 사회심리, 문화경영, 비교문화심리, 창의성, 자기개념, 스트레스, 자녀가치 등이다.